지난해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코로나19 사태 이후 소득 양극화가 더욱 심해진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, ‘계층 사다리’ 복원을 위해 무엇이 가장 중요한 지 물은 결과, ‘좋은 일자리 창출’(31.3%), ‘소득 재분배 정책’(19.5%), ‘고용 안정성 강화’(15.4%), ‘사회 안전망 확대’(13.3%), ‘교육 양극화 해소’(5.9%) 순으로 응답했다.
▲남성은 ‘좋은 일자리 창출’(33.7%) - ‘소득 재분배 정책’(19.5%) - ‘고용 안정성 강화’(15.4%) 순으로 응답한 반면, ▲여성은 ‘좋은 일자리 창출’(28.9%) - ‘고용 안정성 강화’(17.9%) - ‘소득 재분배 정책’(16.5%) 순으로 답해 차이를 보였다.
'계층 사다리' 복원 중요 요인,
좋은 일자리 창출(31.1%) - 소득 재분배 정책(19.5%) ...
= TBS-한사연 10월 15~16일 공동조사 =
지난해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코로나19 사태 이후 소득 양극화가 더욱 심해진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, ‘계층 사다리’ 복원을 위해 무엇이 가장 중요한 지 물은 결과, ‘좋은 일자리 창출’(31.3%), ‘소득 재분배 정책’(19.5%), ‘고용 안정성 강화’(15.4%), ‘사회 안전망 확대’(13.3%), ‘교육 양극화 해소’(5.9%) 순으로 응답했다.
▲남성은 ‘좋은 일자리 창출’(33.7%) - ‘소득 재분배 정책’(19.5%) - ‘고용 안정성 강화’(15.4%) 순으로 응답한 반면, ▲여성은 ‘좋은 일자리 창출’(28.9%) - ‘고용 안정성 강화’(17.9%) - ‘소득 재분배 정책’(16.5%) 순으로 답해 차이를 보였다.
응답 내용별로 보면, ▲‘좋은 일자리 창출’은 60세 이상(37.2%)∙20대(36.8%), ▲‘소득 재분배 정책’은 50대(25.5%)∙40대(24.2%), ▲‘고용 안정성 강화’는 20대(26.4%), ▲‘사회 안전망 확대’는 30대(18.0%)에서 높았다.